맨위로가기

전라남도 (일제강점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라남도 (일제강점기)는 일제강점기 시대의 전라남도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1925년부터 1944년까지 인구 변화, 행정 구역, 역대 도지사, 사법, 형무소, 경찰, 세무, 기상, 의료, 고등 교육 기관, 철도, 도로, 항만, 광산, 신사, 기업, 미디어, 출신 유명인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1914년 광주가 광주부로 승격되고, 1915년 제주도가 전라남도에 편입되는 등 행정 구역의 변화가 있었으며, 광주지방법원과 여러 지청, 광주형무소와 목포형무소 등의 사법 및 형사 시설이 운영되었다. 또한, 호남선, 전라선 등의 철도와 경성 목포선, 광주 법성포선 등의 도로가 건설되었으며, 목포항을 비롯한 여러 항만이 개항되었다. 농업, 광업,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광주 신사 등 여러 신사가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라남도의 역사 - 5·18 광주 민주화 운동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1980년 5월 전라남도 광주에서 신군부의 계엄령 확대와 정치 탄압에 항거한 시민들의 민주화 운동이자 계엄군의 무력 진압 사건으로,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전라남도의 역사 - 명량 해전
    명량 해전은 정유재란 시기 이순신이 13척의 배로 130여 척의 일본 수군을 물리친 해전으로, 조선 수군의 지휘 체계 혼란 속에서 이순신의 지휘, 지형적 이점, 조류 활용 등으로 일본 수군의 전라도 진격을 막아 정유재란의 흐름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 광주광역시의 역사 - 광산군
    광산군은 1935년 광주군에서 개칭된 행정구역으로, 광주직할시 편입 전까지 여러 차례 행정구역 개편, 나주군 지역 편입, 광주시와의 지역 조정, 송정읍의 송정시 승격 등의 변화를 겪으며 읍과 면으로 구성되었다.
  • 광주광역시의 역사 - 5·18 광주 민주화 운동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1980년 5월 전라남도 광주에서 신군부의 계엄령 확대와 정치 탄압에 항거한 시민들의 민주화 운동이자 계엄군의 무력 진압 사건으로,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도 - 전라북도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 제국의 지배 아래 놓인 전라북도 지역으로, 조선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일본인이 소수를 이루었으며, 부, 군, 면으로 구성된 행정 구역과 전주지방법원, 전주형무소 등의 사법 및 치안 기관, 그리고 전주지방전매국, 군산세무서 등의 경제 기관이 설치되어 농업, 광업,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 활동과 철도, 도로, 항만을 중심으로 교통이 발달하고 일본어 신문과 라디오 방송국이 운영되었으며, 황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전주신사를 비롯한 여러 신사가 설치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도 - 경상남도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경상남도는 인구가 증가하고 농림수산업, 광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으며, 철도와 항만이 주요 교통 시설로 이용되었고, 부산, 마산 등지에 신사가 있었으며, 조선방송협회 방송국이 운영되었다.
전라남도 (일제강점기)
개요
전라남도 (일본 통치 시대)
전라남도 (1945년 8월 15일)
일본어 표기全羅南道 (ぜんらなんどう)
한국어 표기전라남도 (全羅南道)
로마자 표기Jeollanam-do
일반 정보
국가일본
지방호남 지방
전라남도
면적(정보 없음)
총 인구(정보 없음)
남자 인구(정보 없음)
여자 인구(정보 없음)
인구 밀도(정보 없음)
가구 수(정보 없음)
행정
도청 소재지(정보 없음)
하위 행정 구역(정보 없음)
ISO 3166-2(정보 없음)
행정 구역 분류 코드(정보 없음)
상징
도의 나무(정보 없음)
도의 꽃(정보 없음)
도의 새(정보 없음)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정보 없음)

2. 인구

wikitable

연도인구비고
1925년2,158,513명
1930년2,332,256명
1935년2,508,346명
1936년2,416,341명내지인(일본인): 44,154명, 조선인: 2,370,853명, 기타: 1,334명
1940년2,638,969명
1944년2,749,969명일본인: 41,954명, 조선인: 2,707,393명, 그 외의 민족: 622명


2. 1. 인구 변화 추이 (1925-1944)

wikitable

연도인구비고
1925년2,158,513명
1930년2,332,256명
1935년2,508,346명
1936년2,416,341명내지인(일본인): 44,154명, 조선인: 2,370,853명, 기타: 1,334명
1940년2,638,969명
1944년2,749,969명일본인: 41,954명, 조선인: 2,707,393명, 그 외의 민족: 622명


3. 행정 구역

1945년(쇼와 20년)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


  • '''부'''


1914년 4월 1일 도청 소재지인 광주면이 광주부로 승격되었다. 같은 날 무안군 부내면 등이 목포부로 승격되었다. 1935년 광주부가 광주읍으로 개칭되었다가, 다시 광주부로 환원되었다.

  • '''군'''


일제강점기 전라남도에는 광산군, 담양군, 곡성군, 구례군, 광양군, 여수군, 순천군, 고흥군, 보성군, 화순군, 장흥군, 강진군, 해남군, 영암군, 무안군, 나주군, 함평군, 영광군, 장성군, 완도군, 진도군이 있었다. 각 군에는 읍, 면이 설치되었다.
광산군: 송정읍, 효지면, 석곡면, 지산면, 비아면, 하남면, 임곡면, 동곡면, 대촌면, 서창면, 극락면, 서방면이 있었다.
담양군: 담양읍, 봉산면, 월산면, 금성면, 용면, 무정면, 창평면, 고서면, 남면, 대덕면, 수북면, 대전면이 있었다.
곡성군: 곡성면, 오곡면, 삼기면, 석곡면, 목사동면, 죽곡면, 고달면, 옥과면, 입면, 겸면, 화면이 있었다.
구례군: 구례면, 간문면(艮文面)은 간전면(間田面)으로, 문척면(文尺面)으로 변경되었고, 토지면, 마산면, 광의면, 용방면, 산동면이 있었다.
광양군: 광양면, 옥룡면, 골약면, 옥곡면, 진상면, 진월면, 다압면이 있었다.
여수군: 여수읍, 쌍봉면, 삼일면, 소라면, 율촌면, 화양면, 돌산면, 남면, 화정면, 삼산면이 있었다.
순천군: 순천읍, 해룡면, 서면, 황전면, 월정면(月灯面)은 월등면(月燈面)으로, 쌍암면, 주암면, 송광면, 외서면, 낙안면, 별량면, 도사면, 상사면이 있었다.
고흥군: 고흥면, 풍양면, 도양면, 금산면, 도화면, 포두면, 봉래면, 점암면, 과역면, 남양면, 동강면, 대서면, 두원면이 있었다.
보성군: 보성읍, 벌교읍, 노동면, 미력면, 겸백면, 율어면, 복내면, 문덕면, 조성면, 득량면, 회천면, 웅치면이 있었다.
화순군: 화순면, 한천면, 춘양면, 청풍면, 이양면, 능주면, 도곡면, 도암면, 이서면, 북면, 동복면, 남면, 동면이 있었다.
장흥군: 장흥읍, 남면, 관산면, 대덕면, 안량면, 장동면, 장평면, 유치면, 부산면이 있었다.
강진군: 강진읍, 군동면, 칠량면, 대구면, 도암면, 성전면, 작천면, 병영면, 암천면(晻川面)은 옴천면(唵川面)으로 변경되었다.
해남군: 해남면, 삼산면, 화산면, 현산면, 송지면, 북평면, 옥천면, 계곡면, 마산면, 황산면, 산이면, 문내면, 화원면이 있었다.
영암군: 영암면, 덕진면, 금정면, 신북면, 시종면, 도포면, 군서면, 서호면, 학산면, 미암면, 삼호면이 있었다.
무안군: 면성면(綿城面)은 이로면(二老面)으로, 이로면(一老面)은 일로면(一老面)으로 변경되었고, 삼향면, 몽탄면, 청계면, 현경면, 망운면, 해제면, 지도면, 임자면, 자은면, 비금면, 도초면, 흑산면, 하의면, 장산면, 안좌면, 암태면, 압해면이 있었다. 금성면(錦城面)은 설치되지 않았다.
나주군: 나주읍, 영산포읍, 세지면, 왕곡면, 반남면, 공산면, 동강면, 다시면, 문평면, 삼도면, 본량면, 평동면, 노안면, 금천면, 산포면, 남평면, 다도면, 봉황면이 있었다.
함평군: 함평면, 손불면, 신광면, 학교면, 엄다면, 대동면, 나산면, 해보면, 월야면이 있었다.
영광군: 영광면, 대마면, 무량면(畝良面)은 묘량면(畝良面)으로, 불갑면, 군서면, 군남면, 염산면, 백수면, 법성면, 홍농면, 위도면, 낙월면이 있었다.
장성군: 장성읍, 진원면, 남면, 동화면, 삼서면, 삼계면, 황룡면, 서삼면, 북일면, 북이면, 북상면(北上面)은 북삼면(北三面)으로, 북하면이 있었다.
완도군: 완도읍, 군외면, 신지면, 고금면, 금일면, 청산면, 소안면, 노화면이 있었다.
진도군: 진도면, 군내면, 고군면, 의신면, 임회면, 지산면, 조도면이 있었다.

  • '''섬'''


제주도1915년 5월 1일 도제(島制) 실시에 따라 전라남도에 속하게 되었다. 제주읍, 애월면, 한림면, 대정면, 안덕면, 중문면, 서귀면, 남원면, 표선면, 성산면, 구좌면, 조천면, 추자면이 있었다.

3. 1. 부

1914년 4월 1일 도청 소재지인 광주면이 광주부로 승격되었다. 같은 날 무안군 부내면 등이 목포부로 승격되었다. 1935년 광주부가 광주읍으로 개칭되었다가, 다시 광주부로 환원되었다.

3. 2. 군

일제강점기 전라남도에는 광산군, 담양군, 곡성군, 구례군, 광양군, 여수군, 순천군, 고흥군, 보성군, 화순군, 장흥군, 강진군, 해남군, 영암군, 무안군, 나주군, 함평군, 영광군, 장성군, 완도군, 진도군이 있었다. 각 군에는 읍, 면이 설치되었다.

  • 광산군: 송정읍, 효지면, 석곡면, 지산면, 비아면, 하남면, 임곡면, 동곡면, 대촌면, 서창면, 극락면, 서방면이 있었다.
  • 담양군: 담양읍, 봉산면, 월산면, 금성면, 용면, 무정면, 창평면, 고서면, 남면, 대덕면, 수북면, 대전면이 있었다.
  • 곡성군: 곡성면, 오곡면, 삼기면, 석곡면, 목사동면, 죽곡면, 고달면, 옥과면, 입면, 겸면, 화면이 있었다.
  • 구례군: 구례면, 간문면(艮文面)은 간전면(間田面)으로, 문척면(文尺面)으로 변경되었고, 토지면, 마산면, 광의면, 용방면, 산동면이 있었다.
  • 광양군: 광양면, 옥룡면, 골약면, 옥곡면, 진상면, 진월면, 다압면이 있었다.
  • 여수군: 여수읍, 쌍봉면, 삼일면, 소라면, 율촌면, 화양면, 돌산면, 남면, 화정면, 삼산면이 있었다.
  • 순천군: 순천읍, 해룡면, 서면, 황전면, 월정면(月灯面)은 월등면(月燈面)으로, 쌍암면, 주암면, 송광면, 외서면, 낙안면, 별량면, 도사면, 상사면이 있었다.
  • 고흥군: 고흥면, 풍양면, 도양면, 금산면, 도화면, 포두면, 봉래면, 점암면, 과역면, 남양면, 동강면, 대서면, 두원면이 있었다.
  • 보성군: 보성읍, 벌교읍, 노동면, 미력면, 겸백면, 율어면, 복내면, 문덕면, 조성면, 득량면, 회천면, 웅치면이 있었다.
  • 화순군: 화순면, 한천면, 춘양면, 청풍면, 이양면, 능주면, 도곡면, 도암면, 이서면, 북면, 동복면, 남면, 동면이 있었다.
  • 장흥군: 장흥읍, 남면, 관산면, 대덕면, 안량면, 장동면, 장평면, 유치면, 부산면이 있었다.
  • 강진군: 강진읍, 군동면, 칠량면, 대구면, 도암면, 성전면, 작천면, 병영면, 암천면(晻川面)은 옴천면(唵川面)으로 변경되었다.
  • 해남군: 해남면, 삼산면, 화산면, 현산면, 송지면, 북평면, 옥천면, 계곡면, 마산면, 황산면, 산이면, 문내면, 화원면이 있었다.
  • 영암군: 영암면, 덕진면, 금정면, 신북면, 시종면, 도포면, 군서면, 서호면, 학산면, 미암면, 삼호면이 있었다.
  • 무안군: 면성면(綿城面)은 이로면(二老面)으로, 이로면(一老面)은 일로면(一老面)으로 변경되었고, 삼향면, 몽탄면, 청계면, 현경면, 망운면, 해제면, 지도면, 임자면, 자은면, 비금면, 도초면, 흑산면, 하의면, 장산면, 안좌면, 암태면, 압해면이 있었다. 금성면(錦城面)은 설치되지 않았다.
  • 나주군: 나주읍, 영산포읍, 세지면, 왕곡면, 반남면, 공산면, 동강면, 다시면, 문평면, 삼도면, 본량면, 평동면, 노안면, 금천면, 산포면, 남평면, 다도면, 봉황면이 있었다.
  • 함평군: 함평면, 손불면, 신광면, 학교면, 엄다면, 대동면, 나산면, 해보면, 월야면이 있었다.
  • 영광군: 영광면, 대마면, 무량면(畝良面)은 묘량면(畝良面)으로, 불갑면, 군서면, 군남면, 염산면, 백수면, 법성면, 홍농면, 위도면, 낙월면이 있었다.
  • 장성군: 장성읍, 진원면, 남면, 동화면, 삼서면, 삼계면, 황룡면, 서삼면, 북일면, 북이면, 북상면(北上面)은 북삼면(北三面)으로, 북하면이 있었다.
  • 완도군: 완도읍, 군외면, 신지면, 고금면, 금일면, 청산면, 소안면, 노화면이 있었다.
  • 진도군: 진도면, 군내면, 고군면, 의신면, 임회면, 지산면, 조도면이 있었다.

3. 3. 섬

제주도1915년 5월 1일 도제(島制) 실시에 따라 전라남도에 속하게 되었다. 제주읍, 애월면, 한림면, 대정면, 안덕면, 중문면, 서귀면, 남원면, 표선면, 성산면, 구좌면, 조천면, 추자면이 있었다.

4. 역대 도지사

역대 전라남도 도지사는 다음과 같다. 1919년 8월 이전에는 "전라남도 장관"으로 불렸다.

호적이름한자 표기재임 기간비고
내지인노세 다쓰고로노세 다쓰고로/能勢 辰五郎일본어1910년 10월 1일 ~ 1911년 5월 15일전라남도 장관, 사망. 전 오타와 총영사, 초대 시카고 영사[1][2]
내지인구도 에이이치구도 에이이치/工藤 英一일본어1911년 5월 24일 ~ 1916년 3월 28일전라남도 장관
내지인미야기 마타시치미야기 마타시치/宮木 又七일본어1916년 3월 28일 ~ 1919년 9월 26일장관, 1919년 8월부터 전라남도지사
내지인이스미 주조이스미 주조/亥角 仲蔵일본어1919년 9월 26일 ~ 1921년 8월 5일
조선인원응상元應常1921년 8월 5일 ~ 1924년 12월 1일
조선인장헌식張憲植1924년 12월 1일 ~ 1926년 8월 14일
조선인석진형石鎭衡1926년 8월 14일 ~ 1929년 1월 19일
조선인김서규金瑞圭1929년 1월 19일 ~ 1929년 12월 11일
내지인마노 세이이치마노 세이이치/馬野 精一일본어1929년 12월 11일 ~ 1931년 9월 23일
내지인야지마 스기조야지마 스기조/矢島 杉造일본어1931년 9월 23일 ~ 1935년 2월 20일
내지인곤도 쓰네타카곤도 쓰네타카/近藤 常尚일본어1935년 2월 20일 ~ 1936년 6월 29일
내지인마쓰모토 이오리마쓰모토 이오리/松本 伊織일본어1936년 7월 6일 ~ 1937년 7월 3일
내지인신가이 하지메신가이 하지메/新貝 肇일본어1937년 7월 3일 ~ 1940년 9월 2일
조선인다케나가 가즈키다케나가 가즈키/武永 憲樹일본어1940년 9월 2일 ~ 1943년 9월 30일엄창섭(嚴昌燮)에서 개명
내지인효도 마사루효도 마사루/兵頭 儁일본어1943년 9월 30일 ~ 1945년 5월 20일
내지인야기 노부오야기 노부오/八木 信雄일본어1945년 5월 20일 ~ 1945년 8월 15일광복


5. 사법

일제강점기 전라남도에는 1941년 당시 광주지방법원과 산하 4개 지청(순천, 목포, 장흥, 제주)이 설치되어 있었다. 순천지청은 1913년 7월 10일에, 목포지청은 1914년 4월 1일에, 장흥지청은 1919년 5월 1일에 각각 설치되었다.

6. 형무소

광주형무소와 목포형무소가 1941년 당시에 있었다.

7. 경찰

1927년(쇼와 2년) 당시 전라남도에는 전라남도 경찰부가 있었고, 그 아래 다음과 같은 경찰서들이 있었다.



==== 헌병 경찰 제도 ====

1915년 당시 광주헌병대가 있었으며, 산하에 장성헌병분대, 영산포헌병분대, 장흥헌병분대, 순천헌병분대, 화순헌병분대를 두었다.

7. 1. 헌병 경찰 제도

1915년 당시 광주헌병대가 있었으며, 산하에 장성헌병분대, 영산포헌병분대, 장흥헌병분대, 순천헌병분대, 화순헌병분대를 두었다.

8. 세무

1941년 당시 전라남도에는 광주세무서, 목포세무서, 순천세무서가 있었다.

8. 1. 세무서

일제강점기 전라남도에는 광주세무서, 목포세무서, 순천세무서가 있었다.

9. 기상

1942년 당시 전라남도에는 제주 측후소, 목포 측후소, 광주 측후소가 있었다.

10. 의료

소록도갱생원이 있었다.

11. 고등 교육 기관

광주 의학전문학교가 설립되었다.

12. 철도

호남선1914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전라선1937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경전선1968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광주선1922년에 개통되었다.

12. 1. 총독부 철도

호남선1914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전라선1937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경전선1968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광주선1922년에 개통되었다.

13. 도로

1927년 당시 1등 도로에는 경성 목포선, 광주 법성포선, 나주 해남선, 영암 장흥선, 마산 좌수영선 등이 있었다.

2등 도로로는 전주 - 여수선, 광주 - 안양선, 광주 - 보성선, 광주 - 순천선이 있었다.

13. 1. 1등 도로

경성 목포선, 광주 법성포선, 나주 해남선, 영암 장흥선, 마산 좌수영선 등이 있었다.

13. 2. 2등 도로

전주 - 여수선, 광주 - 안양선, 광주 - 보성선, 광주 - 순천선이 있었다.

14. 항만

1897년 10월 1일에 목포항이 자발적으로 개항되었다.

1910년 10월 1일에 개항된 목포항부산항을 제외하고 조선총독부가 지정한 항구는 다음과 같다.

14. 1. 개항

목포항은 1897년 10월 1일에 자발적으로 개항되었다.

14. 2. 지방항

1910년 10월 1일에 개항된 목포항과 부산항을 제외한 조선총독부가 지정한 항구는 다음과 같다.

15. 광산

전라남도 지역에서는 광양광산에서 금, 은, 구리 등이 채굴되었다.

16. 신사

일제강점기 전라남도에는 광주 신사, 송도 신사를 비롯하여 순천 신사, 나주 신사, 동산 신사, 영산포 신사, 소록도 신사, 여수 신사, 송정 신사, 담양 신사 등이 있었다.

17. 기업

도내에 본사를 둔 자본금 50만 엔 이상의 기업은 다음과 같다(1940년, 쇼와 15년 당시).


  • 농림 수산업
  • 전라남도는 농업이 전체 산업의 8할 이상을 차지하는 지역이었다. 쌀 이외에 보리, 콩, 조 등의 잡곡도 많이 생산되었고, 특히 나주평야조선 최대의 곡창으로 알려져 있었다. 면화와 누에고치의 생산도 활발하여 일본 수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 임업은 소나무, 대나무, 참나무 등이 주를 이루었고, 광양의 밤, 구례의 오얏, 순천의 감이 유명했다. 수산업은 조기, 갈치, 고등어, 해삼, 김 등이 많이 잡혔고, 완도의 김, 고흥의 미역, 여수의 멸치가 특히 유명했다.

  •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 지주들이 전라남도에 많은 농장을 소유했다. 대표적인 일본인 농장으로는 전남식산, 후쿠다 농사, 구니타케 농장, 다카세 농장, 학파 농장, 우마츠 농장, 보성흥업, 선일척산, 영화농장, 시노노 농원 등이 있었다.

  • 광업
  • 전라남도는 일제강점기에 광업이 활발했던 지역이다. 전라남도에서 활동했던 광업 회사로는 계림광업, 순천산업 등이 있었다.

  • 제조업
  • 전라남도는 일제강점기에 여러 제조업 분야에서 변화와 발전을 겪었다. 조선 면화 산업과 관련하여, 전남 지역은 주요 생산지 중 하나였다. 전남 면화는 품질이 우수하여 일본으로 수출되기도 하였다. 혼다 면공장은 이 지역의 대표적인 면방직 공장 중 하나였다.

  • 조선 한천과 해조류 가공 산업 또한 전라남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조선 한천 해조는 식품 및 의약품 원료로 사용되었으며, 일본을 비롯한 해외 시장으로 수출되었다.

  • 조선 중공업의 경우, 전라남도 지역에는 목포를 중심으로 조선소가 발달하여 선박 건조 및 수리 산업이 이루어졌다. 조선 레이온 공장은 인조 섬유 생산을 담당하며, 지역 경제에 기여했다.

  • 제사(製絲) 산업은 광주를 중심으로 발달하였으며, 누에고치에서 실을 뽑아내는 생사(生絲) 생산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 운수업
  • 혜양기선(晃陽汽船)과 전남일출자동차(全南日之出自動車)등이 있었다.

  • 도소매업
  • 히구치 상점, 전남산업, 조선박하 등이 주요 상점이었다.

  • 부동산업
  • 전라남도에서 부동산업을 영위했던 회사로는 금곡상회가 있었다.
  • 삼광 토지가 있었다.

17. 1. 농림 수산업

전라남도는 농업이 전체 산업의 8할 이상을 차지하는 지역이었다. 쌀 이외에 보리, 콩, 조 등의 잡곡도 많이 생산되었고, 특히 나주평야조선 최대의 곡창으로 알려져 있었다. 면화와 누에고치의 생산도 활발하여 일본 수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임업은 소나무, 대나무, 참나무 등이 주를 이루었고, 광양의 밤, 구례의 오얏, 순천의 감이 유명했다. 수산업은 조기, 갈치, 고등어, 해삼, 김 등이 많이 잡혔고, 완도의 김, 고흥의 미역, 여수의 멸치가 특히 유명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 지주들이 전라남도에 많은 농장을 소유했다. 대표적인 일본인 농장으로는 전남식산, 후쿠다 농사, 구니타케 농장, 다카세 농장, 학파 농장, 우마츠 농장, 보성흥업, 선일척산, 영화농장, 시노노 농원 등이 있었다.

17. 2. 광업

전라남도는 일제강점기에 광업이 활발했던 지역이다. 전라남도에서 활동했던 광업 회사로는 계림광업, 순천산업 등이 있었다.

17. 3. 제조업

전라남도는 일제강점기에 여러 제조업 분야에서 변화와 발전을 겪었다. 조선 면화 산업과 관련하여, 전남 지역은 주요 생산지 중 하나였다. 전남 면화는 품질이 우수하여 일본으로 수출되기도 하였다. 혼다 면공장은 이 지역의 대표적인 면방직 공장 중 하나였다.

조선 한천과 해조류 가공 산업 또한 전라남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조선 한천 해조는 식품 및 의약품 원료로 사용되었으며, 일본을 비롯한 해외 시장으로 수출되었다.

조선 중공업의 경우, 전라남도 지역에는 목포를 중심으로 조선소가 발달하여 선박 건조 및 수리 산업이 이루어졌다. 조선 레이온 공장은 인조 섬유 생산을 담당하며, 지역 경제에 기여했다.

제사(製絲) 산업은 광주를 중심으로 발달하였으며, 누에고치에서 실을 뽑아내는 생사(生絲) 생산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17. 4. 운수업

혜양기선(晃陽汽船)과 전남일출자동차(全南日之出自動車)등이 있었다.

17. 5. 도소매업

히구치 상점, 전남산업, 조선박하 등이 주요 상점이었다.

17. 6. 부동산업

전라남도에서 부동산업을 영위했던 회사로는 금곡상회가 있었다.

17. 7. 부동산업

삼광 토지가 있었다.

18. 미디어

18. 1. 라디오 방송국

조선방송협회 광주방송국 (호출 부호: JBHK)과 조선방송협회 목포방송국 (호출 부호: JBNK)이 있었다.

18. 2. 일본어 신문

1941년 당시 목포신보, 광주일보 등의 일본어 신문이 발행되었다.

19. 출신 유명인

이 시대에 전라남도에서 태어나거나 활동한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송진우 (독립운동가)
  • 김대중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 박지원 (정치인, 전 대통령 비서실장, 문화관광부 장관)
  • 에토 세이시로(정치인, 자민당 소속)

참조

[1] 간행물 The Japan Year Book https://archive.org/[...] 1906
[2] 웹사이트 高峰譲吉博士とシカゴ領事館 https://npo-takamine[...] 2017-0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